계측기, 자료실 및 팁스

LC 미터 사용법 (올드 앤 뉴 라디오 공제품)

알씨보이 2019. 2. 14. 21:16



LC 미터 사용법 

L/C 미터



http://cafe.daum.net/OLDNEWRADIO/48TK/582

http://cafe.daum.net/OLDNEWRADIO/48TK/435


VK3BHR L/C 메타 부품목록

http://cafe.daum.net/OLDNEWRADIO/48TK/590

VK3BHR L/C 메타 교정방법

http://cafe.daum.net/OLDNEWRADIO/48TK/591




아래글은 1차~2차 키트 제작후 확인사항 글 이오니 LC METER 구입하시는분은 내부특성 숙지를 위해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...운영지기

 

 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1~2차 공제주관한 팔공둘리님 작성글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1. PCB의 조립이 끝나면 전원을 넣기 전에 먼저 모든 부품이 제자리에 바르게 꽂혀있는지 확인을 합니다.

 

2. 납땜면에 모든 단자들이 제대로 납땜이 되어있는지 한번 더 확인을 합니다.

 

3. 방향이 있는 부품들 - PIC, 78L05, Diode D1, D2, 스위치 2개, 전해콘덴서, 기타 부품들의 방향도 두번 세번 확인을 합니다.

 

4. PIC은 미리 프로그램이 라이팅되어 있으므로, 별도로 프로그램을 라이팅할 필요는 없습니다.

 

5. 전원을 투입합니다. 투입하는 전원은 9~15볼트 정도면 되므로 적합한 아답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.

   테스크탑 파워서플라이가 있으면 전류량을 확인해보면 좋습니다.

   전류량은 대략 20mA 아래로 흐를것입니다.(LCD BackLight가 연결되어 있으면 35~40mA정도 흐를것입니다)

   테스트 모델에서는 8mA가 흘렀습니다.

 

   LCD에서 아무것도 볼 수 없고, 백라이트만 들어오는 상태라면 맞게 된 것입니다.

   R8 반고정저항을 십자 드라이버 작은것을 이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글자가 나타날것입니다.

   나타나는 글자는 Calibrating 또는 C = XXX.XXpF 또는 Over Range 등의 글자나 나타난다면 정상입니다.

   C측정 모드에서는 0.0pF 또는 그 근처의 값이 나타날 것입니다.

 

6. 10분 이상 워밍업을 시켜서 발진회로를 안정화 시킨 다음,

   Mode 선택스위치를 C Mode에 두고 두개의 프로브는 오픈(연결하지 않은 상태)시켜둔 다음

   CAL 버튼(PCB의 좌측 버튼)을 누르면 다시 캘리브레이션을 한 다음 C = 0.0pF 으로 나타날것입니다.

 

7. 측정용 표준 콘덴서를 양쪽 단자에 연결하면 L/C Meter에서 비슷한 값을 읽을 수 있을것입니다.

 

8. 표시되는 값을 올리려면, SW3의 7번과 8번 단자를 부품봉투에 포함되어 있는 쇼트바를 이용하여 연결해 줍니다.

   값을 내리려면 SW3의5번과 6번 단자를 연결해 줍니다.

 

   표시되는 값이 원하는 값 부근에 왔을 때, 쇼트바를 제거하면 됩니다.

   PIC은 이때의 값을 내부적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.

   이러한 과정은 아주 많은 횟수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.(1백만번 이상 ^^)

 

9. 만약 L/C Meter가 예상외의 반응을 보이면, SW3의 3번핀과 4번핀을 연결하여 F1 주파수를 체크해 보거나

   1번핀과 2번핀을 연결하여 F2 주파수를, 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.

 

   F1 주파수는 00050000 +/- 10%(45,000~55,000)의 값이어야 합니다.

   만약, 너무 높은 값(65,535 부근의 값)이 나타나면 L/C Meter는 Overflow가 되고, 에러메시지를 보여줄것입니다.

   또 너무 낮은 값(40,000 보다 낮은 값)이 나타나면 정밀도를 잃게 됩니다.

 

   F2 주파수는 Calibration 주파수입니다.

   이 값은 F1의 75% +/- 5%의 값입니다.

 

10. 코일 L1의 용량값을 조정하여 ㄹ1 주파수의 값이 60,000 가깝게 조정을 하면, L/C Meter 의 최대 분해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   L1값은 82uH가 지정한 100uH보다 더 좋습니다.(이 내용은 원저자의 글을 그대로 번역한 것입니다.)

   이 부분은 우리 카페 마이더스님이 이미 검증한 상태이므로, 별다른 얘기 하지 않겠습니다.

   궁금하신 분은 마이더스님이 작성한 글(http://cafe.daum.net/OLDNEWRADIO/48TK/435)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.

 

11. 만약, F1과 F2가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면, 납땜된 상태 및 배선된 상태 등을 새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
 

12. L값 측정모드의 캘리브레이션은 C값의 캘리브레이션을 바쳤으면 자동으로 맞춰지게 되어있습니다.

   L값 캘리브레이션시에는 두개의 단자를 쇼트시킨 후 작업해야 됩니다.

   그렇지 않으면 CAL 버튼을 누르면 Over Range라는 메시지를 보시게 됩니다.   

 

13. 만약 이상한 반응을 보이거나,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면 게시판에 물어봐주시기 바랍니다.

 

14. 측정가능 정밀도는  좋은 상태에서 +/- 1% 또는 읽을 수 있는 최소자릿수의 값,

   대부분은 +/-2%  또는 읽을 수 있는 최소자릿수의 오차를 가진다.

 

15. 전체적인 설계상의 큰 절충점(전제)

   (1) 오실레이터는 대체로 완벽하다.

   (2) 주파수 측정값은 16비트를 기준으로 하였다.

   (3) 모든 사칙연산의 결과값은 1비트 이하의 정밀도로 생성한다.

 

16. 측정가능 범위.

   (1) 콘덴서(Capacitance, 정전용량, 콘덴서값) - 0.0pF ~ 0.1uF입니다.

        상위 범위의 한계값(0.1uF 부근의 값)은 사용한 부품중 Comparator와 사용된 콘덴서(C1, C2)의 Q값, 그리고

        사용된 코일(L1)의 Q값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.
   (2) 코일(inductance, 유도용량, 코일값) - 0.0uH ~ 10mH 이상입니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1) 바리콘 단자를  양쪽 집게에 물린 후 전원을 키면 수치가 나타나는 데 오픈 시킨 후 칼리브레이션 (왼쪽 - 검정색 버튼)을 누른다.

2) 이때 제로가 나오면 정상

3) 바리콘 단자를 다시 물린 후 바리콘 노브를 조절하면서 Capacity 변화 관찰







(eom)